어바니즘 4조 고나영 김서현 김현기 이제희
1. 선정 계기
지난해 하반기 저금리와 경제침체로 상업용 부동산 시장도 난항을 겪었 다. 하지만 성수동은 예외였는데, 상업용 건물과 토지 매매는 꾸준히 활기 를띄었다.. 특히 ”거래량이 줄긴 했지만, 현금부자나 기업, 법인 투자자들이 가격만 맞으면 사겠다면서 대기 중… 임차 및 창업 수요도 많아 공실률이 사실상 0%에 가까운 상황이 4~5년째 이어지고 있다.“는 김정안 성수부동 산 소장의 인터뷰를 보고 관심을 가지게되었다. 성수동은 본래 공업지대로 도시화가 가속화되던 1950년에 공장이 들어서 면서 자연스럽게 생성되었다. 특히 1967년 금강제화가 이전하면서 관련 업체들이 성수동으로 모여들었고, 수제화타운이 조성되었다. IMF를 겪으며 공장들은 도산하고 명맥만 이어지는, 죽어가는 도시였다. 이후 가난한 예술가와 사회단체가 유입되고, 패션과 폐공장을 활용한 상 점과 카페가 생겨났다. 프리미엄 아파트인 아크로서울포레스트가 건설되고 성수동은 새로운 모습으로 탄생하게 되었다. 준공업지역인 성수동의 다양한 모습에 흥미를 느껴 성수동, 그 중에서도 ‘연무장길‘을 조사하고자 한다
2. 건물 정보
성수동 연무장길의 여러 건물 중 준공업지역이라는 특색을 보여주는 대표 적인 건물인 ‘대림창고‘의 건물정보이다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동2가 322-32번지
지목: 공장용지 면적: 1,698.8m^2
개별공시지가(m^2당): 9,981,000원(2022/01)
지역지구 등 지정여부: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지역.지구 등: 도시지역, 준 공업지역, 도로(접합)
- 다른 법령 등에 따른 지역.지구 등:
[건축법] 가로구역별 최고높이 제한지역
[교육환경 보호에 관한 법률] 교육환경보호구역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법] 대공방어협조구역
[수도권정비계획법] 과밀억제권역
[한강수계 상수원수질개선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 (한강) 폐기물. 매립시설 설치제한 지역
3. 임차인/소유주 정보
다음은 성수동 ’대림창고‘의 소유주 정보이다. 소유주 정성윤씨는 주식회사 대림창고 갤러리를 만들어 카페로 개조했 다. 성수동이 부상하기 시작할 무렵인 2018년부터 본인 명의 및 회사 명 의로 대출을 여러차례 받았다. 2016년 공시지가 4,507,000원에서 2022년 공시지가 9,981,000원으로 두배 이상 올라 가능했던 것으로 유추된다.
4. 답사를 통해 알고 싶은 점.
- 공업지역이었던 성수동이 최고의 지가를 자랑하는 구역이 될 수 있었 던 이유.
-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의 조화
- 연무장길의 상권 특징
<참고문헌> 모두 얼어붙었는데 여기만 뜨겁다… 공실률 ‘0’의 거리: 불황 잊은 성수동 빌딩 시 장, 이지은, 2023.02.03,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economy/real_estate/2023/01/31/NVRBBL5QPJEN7MDU5 3XAQOHJ5Q/ 김혜민 임보미 윤해성 윤기한, 재화를 생산하던 공장에서 문화를 생산하는 공장 으로-침체된 도시의 활성화, 2019. https://koreascience.kr/article/JAKO201966358473250.pdf 서울역사아카이브, 성수동 https://museum.seoul.go.kr/archive/archiveList.do?type=A&type2=year&arcvGroup No=2265 트렌드가 흐르는, 성수동 연무장로 https://www.travie.com/news/articleView.html?idxno=50146 공장지대에서 예술의 거리로, 서울의 브루클린을 꿈꾸는 성수동, 2016.5. https://love.seoul.go.kr/asp/articleView.asp?intSeq=169